※본 게시글은 차트분석 연습을 하기위해 저의 개인적인 견해로 작성된 글입니다. 도움이되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참고용도로만 활용해주세요.
안녕하세요. 오늘 소개해드릴 코인은 업비트에 있는 톤(TON) 코인입니다. 차트분석 연습에 앞서서 톤 코인에 대해 간단하게 같이 알아보고 넘어가보도록 할게요. 사진을 캡쳐한 시간은 오후 8시 40분경이고, 글을 작성하기 시작하는 시간은 오후 9시입니다.
톤(TON) 코인은 21.11.08 기준으로 시가총액은 288.8억원이다. 토카막 네트워크 즉 톤(TON)코인이 제공하려는 것은 다양한 튜링 완전한 플라즈마 블록체인을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. 토카막 네티워크는 "임의의 상태"를 다르게 변화시기기 위한 규칙을 루트체인에 별도로 정의하여 플라즈마 체인의 "올바른 상태 변화"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. 따라서 토카막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이 겪고 있는 확장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, 이더리움의 성능과 기능적 제약으로 인해 구현되지 못한 어플리케이션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.
토카막 네트워크 즉 톤(TON) 코인은 디앱들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서 생태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며, 프로젝트는 블록체인 디앱 개발자들이 블록체인의 분산화 네트워크 위에서 본인들의 요구사항에 맞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운영 할 수 있도록 데이터 처리속도인 TPS를 확장하고 네트워크 수수료인 가스비를 절감할 수 있게 플라즈마와 롤업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.
궁극적으로 누구나 손쉽게 TON토큰으로 플라즈마와 롤업과 같은 Layer-2 체인을 운영하여, 이더리움 및 분산화된 블록체인 위에서 자유로운 유저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구현한 프토토콜으로 볼 수 있다.
4시간 봉 차트분석
4시간 봉을 기준으로 한 차트분석을 하기에 앞서 오늘은 각 기준이 되는 봉마다 편차 지지점과 저항점이 잡는 것이 어려워서 시간이 조금 걸린 것 같았다. 우선 4시간 봉 차트분석을 해본 결과 단기 지지선을 10400원으로 잡았고, 단기저항을 11000원으로 잡았다. 톤(TON)코인을 기준으로한 4시간 봉은 별로 차트연습을 하는데 별로 도움이 되지는 않았다.
일(24시간) 봉 차트분석
일봉의 차트를 분석한 결과 4시간봉을 기준으로 한 분석과는 달리 지지점을 9700원으로 잡았고 저항점은 12100원으로 생각하고 있다. 4개의 유형으로 분석한 결과 30일 캔들을 기준으로 한 지지값과 저항값이 지금 분석하고 있는 일봉과 가장 비슷한 평균을 나타내고 있다. 맨아래에 4개의 캔들을 정리하여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지지점과 저항점을 정리 해놓겠습니다.
주(7일) 봉 차트분석
주봉을 기준으로 분석을 해본 결과 8800원대에 지지선을 구축하고 있다. 하락을 대비하여 장기적인 관점으로 볼 것으로 추천드린다. 저항점은 14900원으로 장기적으로 볼 수 있다고 판단했다.
한달(30일) 봉 차트분석
30일 기준선인 한달 봉 캔들로 분석을 해봤는데 지지선은 9800원 저항선은 11900원으로 일봉을 분석한 결과값과 비슷하게 나왔다. 종합적으로 정리하자면 9800원 지지선이 깨지면 약손절을 하여 매도하는 것이 가장 베스트의 판단인 것 같다. 저항점인 11900원을 돌파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상승까지 노릴 수 있는 좋은 코인이라고 생각한다.
'Coin일기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.11.12 연두부의 오미세고 코인(OMG) 차트분석 (3) | 2021.11.12 |
---|---|
2021.11월 11일 연두부의 이캐시 코인(XEC) 차트분석 (0) | 2021.11.11 |
2021.11.11 연두부의 에이다 코인(ADA) 차트분석 (0) | 2021.11.11 |
20211110 연두부의 스택스 코인(STX) 차트분석 3일차 (0) | 2021.11.10 |
20211108 연두부의 리플코인(XRP) 차트분석 공부 1일차 (1) | 2021.11.08 |
댓글